주요사업
01. 자치구자원봉사센터 운영기반 지원
- 공동협력체계 구축과 응집력 있는 정책과제 공동 대응
- 센터장 소통강화회의, 센터관리자 네트워크사업, 전국자원봉사센터장 연찬회 등
- 자치구자원봉사센터 전문성 및 역량강화 지원(운영진단 컨설팅 및 모델링 지원, 가이드 교육 등)
- 자치구자원봉사센터 민간 중심성 강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지원
- 민영화 타시도 사례 벤치마킹 및 자치구센터 의견 조사‧분석, 성과관리 방안 협의, 포럼 개회 등

02. 동 단위 자원봉사 활성화 운영지원
- 주민주도형 동단위 자원봉사 문화조성 사업
- 시민찾동이 관리 운영 시범동 운영, 동모니터링 및 동장간담회, 전담인력(촉진가)운영 및 교육 훈련 등
- 이웃과 지역에 대한 관심과 참여 촉진 안녕 캠페인 전개
- ‘안녕프로젝트’ 및 ‘주민교육’ 지원사업을 통한 캠프 모델링, 안녕캠페인 추진, 시민찾동이 홍보 및 공동 활동 등
- 지속가능한 자원봉사 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타임뱅크 시범사업 운영
- 타임뱅크 시범 운영 및 코디네이터 교육 훈련
- 자치구 주도의 자원봉사 캠프 운영 활성화 지원
- 찾동과 연계협력, 구센터 추진체계 구축, 신규캠프 육성 지원 등

03.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
-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자원봉사 임팩트 프로그램 지원 사업 : 10개구, 100백만원
- 성과평가 워크숍, 컨설팅, 임팩트 지표 설계연구 및 성과 측정보고서 발행 등
- 청소년 봉사학습 지원사업(서울형 봉사학습 실천학교) : 50개교 50백만원
- 봉사학습 멘토단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및 봉사학습 교육 콘텐츠 개발 보급 확산
- 실천학교 프로그램 사례 분석을 통한 범교과 과정 연계 봉사학습 모형 연구, 광역단위 봉사학습 협의체 구성 및 운영

04. 자원봉사 관리자 및 시민리더 교육
- 자원봉사 관리자 통합 교육 과정 운영(입문, 직무, 전문과정)
- 민주시민 성장을 지원하는 시민교육과정 운영‧보급(자원봉사시민학교 커리큘럼 개발 및 보급)
- 지역사회 인권 감수성 증진을 위한 자원봉사 인권 프로젝트 운영‧지원
- 인권 프로젝트 전문성강화를 위한 강사역량강화 워크숍, 찾아가는 자원봉사 인권교육 지원, 자원봉사 인권 워크숍 등

05. 자원봉사 활동 관리체계 고도화
- 서울시‧산하기관 등 공공분야 자원봉사 운영 지원
- 자원봉사센터 관리자 협력을 통한 수요처 관리체계 강화(인식개선캠페인, 교재개발 등)
- 수요처 현황 조사 및 정책 개정을 통한 수요처 관리 기능 강화(전수조사, 운영지침 정비 등)
06. 전산 시스템 및 관리자 역량 강화
- 정보화 사업의 효율적 통합 운영 관리(상시시스템 유지관리 및 기능개선)
- 개인정보보호 및 정보보안업무 내실화(관리자교육지원, 시스템 점검 등)
- 자치구자원봉사센터 관리자 전산업무 역량강화(전산교육 및 전산인프라 현장 자문 등)
07. 정책개발 연구 및 국제협력
- 자원봉사 정책개발(서울시 자원봉사 정책의 공공성 기반형성) 및 성과관리체계 개발 운영지원
- 센터 사업 추진을 위한 정보생산(의견조사, 연구자문위원회 등)
- 국내‧외 자원봉사 전문자료 보급 확산(이슈브리프 발간 및 이슈자료 보급)
- 글로벌 역량강화 국제교류 프로그램 운영 및 재한외국인 자원봉사 문화 확산
08. 대학생 자원봉사 활동 지원
- 사회적 리더십 함양을 위한 대학생 주도의 기획 프로그램 운영‧지원
- 대학별 대표단, 소모임 운영‧지원, 서울동행 기획봉사 교육과정 개발 및 프로그램 개발 활동지원
- 서울동행 봉사활동 참가 대학(원)생 지원 및 인정‧격려
- 해외봉사활동, 국제교류 프로그램, 문화나눔, 표창, 참가자 만족도 조사 및 성과 결과 확산
- 서울 동행 브랜드 홍보(브랜드 홍보물품 제작‧배부, 온‧오프라인 홍보활동)

09. 동행 활동 기관 운영 지원
- 프로그램 운영 주체의 다양화를 통한 대학생 봉사활동 활성화
- 연중 운영지원 및 대학생 주도 봉사프로그램 참여 채널 개설 운영
- 활동 기관 운영 체계 내실화 및 지원‧관리 강화
- 팰로우 커뮤니티, 활동기관 모니터링, 활동기관 운영비 정산‧점검 등
10. 동행 참여자 교육
- 개인적‧사회적 의미와 가치를 함양 할 수 있는 대학생 리더십교육
- 대학생의 멘토로서의 활동기관 관리교사 교육
- 동행 출신 사회인 및 관리교사를 동행 전문 강사로 양성 등
11. 자원봉사 홍보사업
- 자원봉사 홍보 거버넌스 확대 및 연계 강화(홍보 성과 모니터링단 운영 및 서울시매체 활용 연계 홍보 등)
- 전략적 콘텐츠 및 광고 등을 통한 기관(CI) 홍보 강화
- 이미지 광고 운영 및 기관의 가치‧방향을 담은 비주얼 콘텐츠 제작 및 전파
- 시민 소통 가치 공유를 위한 온‧오프라인 홍보 채널 운영(수시보도, 시민소통 채널 운영 등)

12. 온라인 플랫폼 운영 활성화
- 사회이슈와 연계한 자원봉사 온라인 플랫폼 「V세상」운영강화(공동캠페인, 인큐베이팅 지원 등)
- 시민주도 콘텐츠 발굴‧지원(시민 찾동이 연계, 시민 커뮤니케이터 운영 등)
- 시민참여형 자원봉사 실천 문화 ‘안녕’ 캠페인 전개
13. 청년들의 성장을 촉진하는 프로보노 자원봉사
- 전문단체 및 기업 등 프로보노 발굴, 파트너즈와 협업 확대(전문영역 프로보노 유치확대, 포럼 개최 등)
- 프로보노&청년 매칭데이 프로그램 운영, 사회참여형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
- 청년 개인 및 그룹별 매칭 케이스 발굴 및 운영(소셜벤처그룹, 사회적 경제 기업 등)

14.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업협력
-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적 투자사업 발굴‧운영(투자형 사업 운영, 협의체 구축 등)
- 기업의 브랜드와 연계한 아젠다형 지정기탁사업 운영 및 기업임직원 자원봉사 역량강화 사업 운영 등

15. 서울 재난안전 통합자원봉사지원단 운영
- 안전한 서울을 만들어가는 지역 중심의 재난예방활동 운영(구호소체험캠프, 컨퍼런스 등)
- 서울 5대 재난 대비 정보화 사업 추진(정보수집, 매뉴얼 제작 워크숍, 활동 제안, 캠페인 기획‧운영)
- 효과적 재난 대응을 위한 현장 통합자원봉사 지원단 운영
